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과 증상, 예후와 치료까지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이란 인체의 여러 기관을 침범하는 전신성 다관절염으로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대표적인 자가면역성 질환입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특징적으로 윤활막의 만성적 비대와 염증이 발생합니다. 그로 인해 관절에 종창과 통증이 나타나고, 관절 주위 조직의 약화와 관절 운동범위가 제한됩니다. 더욱 심화될 경우 관절 경직과 변형이 초래됩니다. 1. 원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체의 자가면역조절 기전의 이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이상으로 만성적인 염증이 관절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관련하여 림프구, 큰포식세포, 섬유세포에서 분해된 단백분해효소 등에 의해서 연골과 뼈가 파괴되게.. 2024. 2. 6.
알아두고 예방하자! 어깨의 질병 - 가시위근힘줄염, 돌림근띠 증후군, 오십견 1. 가시위근힘줄염 (극상근건염, Supraspinatus tendinitis) 가시위근(극상근, supraspinatus)은 어깨의 근육둘레띠(회전근개, rotator cuff)를 형성하는 근육 중 하나입니다. 초기 어깨 벌림 운동과 가쪽 위돌림운동을 하는 근육으로, 어깨의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염증성 반응과 근섬유화를 초래하여 근육의 탄력성이 소실되게 됩니다. 이후 더욱 악화되면 석회화로 진행될 수 있고 심하면 파열될 수 있습니다. 팔을 벌릴 때 통증이 나타나고, 주로 밤에 심하게 통증을 호소합니다. 급성 석회화 힘줄염은 무리하게 사용하였을 경우에 25~45세의 젊은 측 사이에서 발생하고, 만성 힘줄염은 50~60세 사이에서 호발 됩니다. 반복적인 팔의 벌림 운동과 가시위근의 스트레스 등이 원인입니다... 2024. 2. 6.
인대와 근육, 힘줄의 염좌, 긴장 그리고 파열 연부조직이란 힘줄(건, tendon), 인대(ligament), 관절주머니(관절낭, articular capsule), 혈관(blood vessle), 연골(cartilage), 근육(muscle), 근막(myofascia) 등이 포함됩니다. 대부분의 연부조직은 아교질로 만들어진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부조직 손상으로는 대표적으로 염좌(삠, sprain), 긴장(좌상, strain), 파열(rupture)이 있으며 주로 인대, 힘줄, 근육에 손상이 나타납니다. 1. 인대 인대는 강하고 단단하며 뼈들 사이를 붙잡아주는 결합조직 입니다. 과도한 움직임으로부터 관절을 보호해 주며, 관절에 부과된 기능적 요구에 따라 두께는 매우 달라집니다. 탄력성이 거의 없고 어느 정도의 유연성만 가지고 있어 운동범.. 2024. 2. 5.
헷갈리기 쉬운 허리 통증 병명 - 퇴행성 척추염, 척추관 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1. 퇴행성 척추염 (Degenerative spondylitis)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추간판의 변형이나 뼈돌기(spur) 형성, 척추후관절의 퇴행, 관절연골의 마모 등 퇴행성 염증질환을 말합니다.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가장 큰 요인은 연령의 증가의 따른 척추뼈의 노화현상입니다. 비만의 경우 40대 이후에 주로 발병하며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빈번합니다. 퇴행성 척추는 외상에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져 기능장애를 일으키기 쉽고, 치료도 오래 걸리게 됩니다. 영상진단과 다른 질병과의 감별진단이 중요합니다. 사소한 스트레스나 외상에도 허리통증을 호소하고 척추굳음(척추강직)이 발생합니다. 특히 아침에 일어나면서 뻣뻣함이 나타나는 아침굳음(조조강직) 현상이 나타납니다. 영상소견으로는 척추뼈 전방외측에서 뼈.. 2024. 2. 5.